아스트로씨

속쓰림엔 어떤 약이 좋을까? 위장약 성분별 비교 가이드 본문

생활정보

속쓰림엔 어떤 약이 좋을까? 위장약 성분별 비교 가이드

아스트로씨 2025. 4. 17. 16:19



스트레스, 야식, 불규칙한 식사… 요즘 속쓰림과 소화불량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 이럴 때 찾게 되는 것이 바로 위장약인데요. 막상 약국에 가보면 종류가 너무 많아 어떤 걸 사야 할지 헷갈리기 쉽죠.

이번 글에서는 위장약의 대표 성분들을 비교하고, 상황별로 어떤 성분을 선택하면 좋은지 가이드해 드릴게요.





1. 위장약, 이렇게 나뉩니다


위장약은 크게 아래 세 가지 계열로 나눌 수 있어요


① 제산제 (위산을 중화)


▪️대표 성분: 알마게이트, 수산화알루미늄

▪️작용: 위산을 물리적으로 중화시켜 즉각적인 완화

▪️추천: 급성 속쓰림, 야식 후 더부룩함


② H2 수용체 차단제 (위산 분비 억제)


▪️대표 성분: 파모티딘 (가스터 등)

▪️작용: 위산 생성 억제, 효과 빠르고 지속

▪️추천: 야간 속쓰림, 식후 더부룩함


③ PPI (프로톤 펌프 억제제)


▪️대표 성분: 에스오메프라졸(넥시움), 라베프라졸(파리에트)

▪️작용: 위산 분비 근원을 차단, 장기치료용

▪️추천: 역류성 식도염, 만성 위염, 위궤양




2. 성분별 위장약 비교


3. 상황별 추천 가이드


4. 복용 시 주의사항


▪️공복 복용 주의: 제산제는 공복보단 식후 또는 증상 시 복용

▪️PPI 계열 장기 복용 시: 골다공증, 위산 저하로 인한 부작용 가능

▪️약물 상호작용: 다른 약(항생제, 철분제 등)과 간격 두고 복용 필요

▪️2주 이상 증상 지속 시 반드시 병원 진료 권장




5. 결론: 속쓰림 약, 상황에 따라 달라요


위장약은 효과가 빠른 즉시 완화용(제산제)부터, 위산 자체를 조절하는 장기치료용(PPI)까지 다양합니다. 증상의 지속 시간, 강도, 발생 시간대에 따라 적절한 약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
무조건 센 약보다는, 지금 내 증상에 맞는 성분을 고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위장약 선택법입니다.






※ 복용 전 반드시 개인 체질 및 병력, 복용 중인 약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해 의사나 약사 상담이 필요합니다.


📌
#위장약 #속쓰림약 #겔포스 #넥시움 #가스터 #위염치료 #역류성식도염 #제산제 #PPI #소화불량