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웰빙
- 뉴로마케팅
- 고흐명화
- 마케팅전략
- 의약품정보
- 과학이슈
- 반고흐
- 전라도벚꽃
- 구매결정
- 가격심리학
- 고흐의삶
- 손실회피
- 내돈내산
- 소비트렌드
- 졸림없는약
- 힐링
- 고대dna
- 선택과부화
- 무비콜
- 우주탐사
- 소비자행동
- 약국상담
- 완하제
- 에세이
- 락툴로오스
- 소비자심리
- 가격심리
- 생활속천문학
- 하루생각
- 크뢸러밀뤄미술관
- Today
- Total
아스트로씨
속쓰림엔 어떤 약이 좋을까? 위장약 성분별 비교 가이드 본문

스트레스, 야식, 불규칙한 식사… 요즘 속쓰림과 소화불량으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 이럴 때 찾게 되는 것이 바로 위장약인데요. 막상 약국에 가보면 종류가 너무 많아 어떤 걸 사야 할지 헷갈리기 쉽죠.
이번 글에서는 위장약의 대표 성분들을 비교하고, 상황별로 어떤 성분을 선택하면 좋은지 가이드해 드릴게요.
1. 위장약, 이렇게 나뉩니다
위장약은 크게 아래 세 가지 계열로 나눌 수 있어요
① 제산제 (위산을 중화)
▪️대표 성분: 알마게이트, 수산화알루미늄
▪️작용: 위산을 물리적으로 중화시켜 즉각적인 완화
▪️추천: 급성 속쓰림, 야식 후 더부룩함
② H2 수용체 차단제 (위산 분비 억제)
▪️대표 성분: 파모티딘 (가스터 등)
▪️작용: 위산 생성 억제, 효과 빠르고 지속
▪️추천: 야간 속쓰림, 식후 더부룩함
③ PPI (프로톤 펌프 억제제)
▪️대표 성분: 에스오메프라졸(넥시움), 라베프라졸(파리에트)
▪️작용: 위산 분비 근원을 차단, 장기치료용
▪️추천: 역류성 식도염, 만성 위염, 위궤양
2. 성분별 위장약 비교

3. 상황별 추천 가이드

4. 복용 시 주의사항
▪️공복 복용 주의: 제산제는 공복보단 식후 또는 증상 시 복용
▪️PPI 계열 장기 복용 시: 골다공증, 위산 저하로 인한 부작용 가능
▪️약물 상호작용: 다른 약(항생제, 철분제 등)과 간격 두고 복용 필요
▪️2주 이상 증상 지속 시 반드시 병원 진료 권장
5. 결론: 속쓰림 약, 상황에 따라 달라요
위장약은 효과가 빠른 즉시 완화용(제산제)부터, 위산 자체를 조절하는 장기치료용(PPI)까지 다양합니다. 증상의 지속 시간, 강도, 발생 시간대에 따라 적절한 약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무조건 센 약보다는, 지금 내 증상에 맞는 성분을 고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위장약 선택법입니다.
※ 복용 전 반드시 개인 체질 및 병력, 복용 중인 약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해 의사나 약사 상담이 필요합니다.
📌
#위장약 #속쓰림약 #겔포스 #넥시움 #가스터 #위염치료 #역류성식도염 #제산제 #PPI #소화불량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침 감기약, 마른기침이냐 가래기침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(0) | 2025.04.21 |
---|---|
변비약, 어떤 걸 골라야 할까? 성분별 완하제 비교 가이드 (0) | 2025.04.19 |
알레르기약, 어떤 게 좋을까? 항히스타민제 성분별 효과 비교 가이드 (1) | 2025.04.16 |
해열 진통제, 어떻게 고를까? 아세트아미노펜 vs 이부프로펜 비교 가이드 (3) | 2025.04.15 |
“구매 결정은 단 5초! 소비자의 뇌는 이미 결제 버튼을 누르고 있다?” (0) | 2025.04.06 |